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NC 다이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NC 다이노스는 2010년 창단된 KBO 리그 소속 프로 야구팀으로, 연고지는 창원시이다. 2012년 퓨처스리그에서 시작하여 2013년 KBO 리그에 참가했다. 2020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마스코트는 단디, 쎄리, 뽀로로, 둘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설립된 야구팀 - 고양 원더스 (2011-2014)
    고양 원더스는 프로 야구에서 방출되거나 지명받지 못한 선수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자 2011년에 창단되어 2014년 해체될 때까지 퓨처스리그 교류전에 참가했으며, KBO 리그 진출 선수 배출과 독립 야구단 운영 모델 제시를 통해 한국 야구 발전에 기여했다.
  • 엔씨소프트 - 아레나넷
    아레나넷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출신들이 설립한 게임 개발사로, NCSoft에 인수되었으며 길드워 시리즈와 길드워 2를 개발했다.
  • 엔씨소프트 - 길드워 2
    길드워 2는 아레나넷이 개발하고 엔씨소프트가 배급하는 MMORPG로, 5개의 종족과 9개의 직업을 선택하여 캐릭터를 생성하고, PvE, PvP, WvW 전투, 제작, 탐험, 레이드 콘텐츠와 엘더 드래곤과의 전투를 중심으로 티리아 대륙의 운명을 다루는 핵심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
  • 경상남도의 스포츠 - 다이노스 베이스볼 파크
  • 경상남도의 스포츠 - 상동야구장
    상동야구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한 롯데 자이언츠 2군 야구장으로, 2,462석의 관중석을 갖추고 시설 투자와 훈련 환경 개선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NC 다이노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팀 이름NC 다이노스
원어 이름NC 다이노스
원어 이름 (로마자)NC Dinos
창단 연도2011년
연고지창원시
리그KBO 리그 (2013년–현재)
홈구장창원NC파크 (2019년–현재)
이전 홈구장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2012–2018)
구단주김택진
모기업NC소프트
감독이호준
단장임선남
웹사이트NC 다이노스 공식 웹사이트
팀 색상
색상파란색, 금색
로고 및 상징
NC 다이노스 엠블럼
NC 다이노스 엠블럼
NC 다이노스 모자 로고
NC 다이노스 모자 로고
NC 다이노스 로고
NC 다이노스 로고
리그 및 성적
리그 우승1회
리그 우승 연도2020
한국시리즈 우승1회
한국시리즈 우승 연도2020
한국시리즈 진출 횟수2회
한국시리즈 진출 연도2016, 2020
플레이오프 진출 횟수4회
플레이오프 진출 연도2015, 2016, 2017, 2023
준플레이오프 진출 횟수3회
준플레이오프 진출 연도2014, 2017, 2023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횟수3회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연도2017, 2019, 2023
기타 정보

2. 창단 과정

2010년 7월 1일,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가 통합되어 창원시가 되었다. 이로써 창원시는 대한민국에서 11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이후 창원시는 프로야구단 유치 사업을 추진했고, 2010년 12월 22일, 비디오 게임 회사인 엔씨소프트(NCSoft)가 한국야구위원회(KBO)에 가입할 야구단 창단 계획을 제출했다. 이로써 창원시는 대한민국 광역시 이외 도시 중 최초로 프로야구단을 보유하게 되었다.

2012년 NC 다이노스는 퓨처스리그에서 경쟁했다. 2012년 5월 8일, 한국야구위원회(KBO)는 KBO 리그 2013년 시즌부터 NC 다이노스의 참가를 공식 승인했다.[1]

2013년 4월 11일, NC 다이노스는 창단 후 첫 경기에서 LG 트윈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2]

2013년 신생팀인 다이노스는 다른 팀들(2명)과 달리 외국인 선수 3명을 등록할 수 있었다. 2014년에는 이 제한이 4명으로 증가했지만(기존 팀은 3명 제한),[3] 2014년 다이노스는 찰리 시렉(Charlie Shirek), 에릭 해커(Eric Hacker), 태드 웨버(Thad Weber) 투수와 에릭 테임즈(Eric Thames) 외야수를 영입했다.[3]

2. 1. 프로야구 제9구단 창단 논의

창원시는 2010년 7월 1일 통합 이후 옛 창원, 마산, 진해 지역을 묶을 수 있는 구심점을 만들고자 프로야구 제9구단 창단을 추진하였다.[17] 2010년 10월 26일 한국야구위원회와 창원시는 제9구단 유치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였다.[17] 2010년 12월 22일 엔씨소프트가 KBO에 프로야구 9구단 창단 의향서를 제출하였다.[18] 대다수의 야구 팬들과 야구 계 인사들은 엔씨소프트의 창단의향서 제출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롯데 자이언츠만이 프로야구의 질적 저하 및 한국프로야구의 시장규모가 아직은 넓지 않다는 이유로 반대하였다.

2. 2. 이사회

2. 2. 1. 2011년 1차 이사회

2011년 1월 10일 엔씨소프트KBO에 창단신청서를 제출하였다. 그리고 다음날인 2011년 1월 11일 엔씨소프트의 제 9구단, 10구단의 창단을 위한 1차 이사회가 열렸다. 하지만, 제 9구단이 창단이 승인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제 9구단의 창단에 동의하는 수준에 그쳤다. 기업 선정 뿐만아니라 제 9구단의 연고지로서 창원시를 확정짓는 것이 아니라 유력하다라는 입장만을 내놓았다. 이에 야구팬들은 제 9구단 창단에 반대하는 롯데 자이언츠와 무능한 행보를 보여준 KBO를 비난하였다.[19]

2. 2. 2. 2011년 2차 이사회

2011년 2월 8일 2차 이사회가 열렸다. 2차 이사회에서는 KBO가 프로야구 제9구단 창단을 희망하는 엔씨소프트에게 우선 협상권을 부여했다. 롯데 자이언츠를 제외한 7개 구단은 'KBO가 정한 신생구단 창단 가이드라인'을 승인하였다.[20] 최종 의결은 되지 않았지만 이사회 승인으로 인해 사실상 엔씨소프트의 제9의 구단은 승인되었다.[21]

2. 2. 3. 2011년 3차 이사회

2011년 3월 22일 3차 이사회가 열렸다. 3차 이사회에서는 제2차 이사회에서 제9구단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엔씨소프트의 신규 가입을 승인했다. 구단주 총회에서 재적회원의 2/3 이상의 찬성을 얻으면 엔씨소프트는 정식으로 프로야구 회원사의 자격을 얻게 되었다.[22] 단 KBO는 창원시의 2만5000석 이상 규모의 신규야구장 건립이 총회 승인 이후 5년 이내에 이뤄지지 않을 경우 엔씨소프트KBO에 납부하는 가입 예치금 100억원을 반환하지 않고, KBO로 귀속하기로 결정하였다.[22] 엔씨소프트 야구단의 선수 수급 관련논의 일체는 4월에 개최될 제4차 이사회 때 심의하기로 하였다.[22]

2. 2. 4. 2011년 4차 이사회

2011년 5월 17일에 열린 이사회에서는 KBO 이사진 규정을 '총재 및 사무총장을 포함한 10인 이내'에서 '총재, 사무총장, 각 구단 대표이사'로 변경하였다. 엔씨소프트의 황순현 대표이사가 엔씨소프트의 이사 자격으로 참석하였다.[23] 이 이사회에서 사직서를 제출한 유영구 전 총재를 대신해서 총재 직무대행에 이용일이 임명된다. 다만, 선수 수급 관련 논의는 다시 5차 이사회로 안건이 넘어가게 되었다.

2. 2. 5. 2011년 5차 이사회

2011년 6월 21일에 열린 이사회에서 선수 수급 방안이 확정되었다. 이사회 의결 내용에 따르면 2012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에서 우선지명 2명과 라운드별 1명씩 10명, 2라운드 종료후 5명의 특별 지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 2012년 시즌 종료 후 각 구단 보호선수 20명 외 1명, FA 선수 계약은 2014년까지 신청 선수의 수와는 관계 없이 3명까지 계약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외국인 선수는 엔씨소프트의 경우는 4명 보유 3명 출장으로, 타 구단은 3명 보유 2명 출장하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이 이사회에서 구단간의 전력 평준화를 위해 격년제로 2차 드래프트를 시행하기로 합의하였다.[24]

2. 3. 프런트 및 코칭 스태프 구성

2011년 3월 22일 이상구를 엔씨소프트 야구단의 초대 단장으로 선임하였다.[25] 4월 25일 엔씨소프트 야구단의 스카우팀 구성이 완료되었다. 스카우트 팀장으로는 전 마산용마고등학교 감독 박동수가 선정되었고, 양후승, 유영준 등 8명이 선정되었다.[26] 5월 22일에는 이태일을 대표이사로 선임하였다.[27] 2012년 7월 1일에는 이상구를 단장에서 부사장으로 승진시키고, 배석현 상무를 단장으로 임명하였다.[28]

초대 감독 후보로 김성근SK 와이번스 감독, 김경문두산 베어스 감독, 선동열삼성 라이온즈 감독, 제리 로이스터롯데 자이언츠 감독 등이 거론 되었다. 이에 NC 다이노스의 관계자는 "선수 수급 문제가 더 시급하고 기존 구단들의 협조를 얻어야 하는 부분이 많아서 누구를 감독으로 모실지 언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라 본다"라고 입장을 표명하였다.[36] 2011년 8월 31일 NC 다이노스는 김경문을 3년 14억의 조건으로 초대 감독으로 선임한다고 발표하였다.[37]

2011년 10월 10일 NC 다이노스가 초대 코칭스태프 구성이 마무리되었다. 박승호(수석), 최일언(투수), 김상엽(투수), 김광림(타격), 강인권(배터리), 이동욱(수비), 전준호(주루/작전), 구동우(투수), 지연규(투수), 전종화(배터리), 박영태(수비)로 각각 임명되었다.[38]

2. 4. 구단 명칭 및 엠블럼

2011년 3월 14일 한국아구데이위원회와 마산아구데이위원회에서 9번째 구단의 팀명칭을 "엔씨 아구스"로 제안하였다. "아구스"는 한글애용 원칙에 부합하며 아구가 경남을 대표하는 음식이라는 이유였다.[29] 하지만 야구팬들과 창원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고 엔씨소프트 역시 아구스는 여러 가지 안 중 하나일 뿐이라고 일축하였다. 2011년 5월 22일 팬 공모를 통해서 구단의 명칭이 NC 다이노스로 확정되었다.[30]

2011년 10월 21일에 공식 엠블럼이 공개되었다. NC 다이노스의 메인 엠블럼은 '마린블루'색 배경에 금색 원에 CHANGWON과 BASEBALL CLUB이 위, 아래로, 중간에 NC DINOS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NC 다이노스의 '야구문화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강하고 젊은 구단'의 의미와 '대한민국 프로야구의 명문구단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의지를 다이노스(공룡)의 로고타입과 상징 컬러에 담았다. 메인 컬러인 '마린블루'는 창원의 푸른 남해 바다를 상징하며, 남해가 가진 생명력과 대양을 향한 꿈을 담고자 했으며, 동시에 승리를 향한 도전 정신과 무한한 가능성을 상징한다. 또한 서브컬러인 '골드'는 야구에 대한 새로운 가치 창조를 의미한다. 즉 '자신감 넘치고 즐거운 야구로 정통을 이어가는' NC 다이노스의 정체성을 반영한 것이다.[45]

2. 5. 선수 수급

2011년 6월 28일부터 30일까지 엔씨소프트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1차 공개 트라이아웃을 실시하였고, 합격자들은 9월에 2차 트라이아웃 참가 자격이 주어졌다.[31] 8월 16일 동국대학교 노성호, 부산고등학교 이민호를 신생팀 우선지명으로 선택했다.[32] 8월 22일에는 상무와 경찰 야구단 소속 선수 중 기존 구단의 지명을 받지 못한 이창호 등 5명과 계약했다.[33] 8월 25일 2012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박민우, 나성범을 비롯한 15명의 신인 선수들을 지명했다. 9월 5일부터 9월 7일까지 3일간 2차 트라이아웃을 통해 정성기, 황덕균 등 22명을 선발하였다. 11월 22일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조평호, 이재학, 오정복 등 7명을 영입하였다.[34]

2012년 6월 12일 KBO 이사회 결과에 따라 2년간 외국인 선수를 3명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35] 2014년 리그 전체의 외인 보유 슬롯 확장으로 인해 다른 팀과 같이 외국인 선수 한 명을 더 보유, 4명을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2015년부터는 다른 팀들과 동일하게 3명을 보유하게 되었다.

2012년 11월 15일, 각 구단의 보호선수 20명 외 특별지명권을 행사하면서 NC 유니폼을 입게 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NC 다이노스는 8개 구단에 각각 10억원씩 총 80억원을 지불했다. NC의 특별 지명은 임의가 아닌 강제 사항이었다. 무조건 8개 구단에서 1명씩 8명을 지명해야 했다. 대상선수가 마음에 들지 않아 뽑을만한 선수가 없다고 해도 특정팀만 선수 지명을 포기할 수는 없다.

이름구단유형포지션
김종호삼성 라이온즈좌투좌타외야수
모창민SK 와이번스우투우타내야수
고창성두산 베어스우투우타투수
이승호롯데 자이언츠좌투좌타투수
조영훈KIA 타이거즈좌투좌타내야수
이태양키움 히어로즈우투양타투수
김태군LG 트윈스우투우타포수
송신영[44]한화 이글스우투우타투수


3. 역대 시즌

2012년 퓨처스 리그에 참가했다. 2012년 4월 14일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1-8로 승리했다.[43] 이 경기에서 9865명의 관중이 몰렸다. 퓨처스리그에서 100경기 60승 5무 35패를 기록하면서 통합 우승을 했다. 나성범은 남부리그 홈런(16) 타점(67) 1위를 기록했고, 이재학은 남부리그 다승(17) 평균자책점(1.55) 1위를 기록했다.

2012년 5월 8일, 한국야구위원회(KBO)는 KBO 리그 2013년 시즌부터 NC 다이노스의 참가를 공식 승인했다.[1]

2013년 신생팀인 다이노스는 다른 팀들(2명)과 달리 외국인 선수 3명을 등록할 수 있었다. 2014년에는 이 제한이 4명으로 증가했지만(기존 팀은 3명 제한),[3] 2014년 다이노스는 찰리 시렉, 에릭 해커, 태드 웨버 투수와 에릭 테임즈 외야수를 영입했다.[3]

2020년 11월, 다이노스는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4승 2패로 첫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4] 이는 팀 역사상 처음으로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한 2020년 정규 시즌 우승에 이은 결과였다.[5]

년도구장순위정규 시즌포스트시즌수상
순위경기 수승률타율홈런평균자책점
2013마산야구장9위/9팀9위/9팀12852724.419.244863.96이재학 ()
20143위/9팀3위/9팀12870571.551.2821434.29준플레이오프 LG 트윈스전 패배 (1-3)박민우 (올해의 신인)
20153위/10팀2위/10팀14484573.596.2891614.26플레이오프 두산 베어스전 패배 (2-3)에릭 테임즈 ()
20162위/10팀2위/10팀14483583.589.2911694.48플레이오프 LG 트윈스전 승리 (3-1)
한국시리즈 두산 베어스전 패배 (0-4)
20174위/10팀4위/10팀14479623.560.2931494.71와일드카드 SK 와이번스전 승리 (1-0)
준플레이오프 롯데 자이언츠전 승리 (3-2)
플레이오프 두산 베어스전 패배 (1-3)
201810위/10팀10위/10팀14458851.406.2611435.48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2019창원NC파크5위/10팀5위/10팀14473692.514.2781284.01와일드카드 LG 트윈스전 패배 (0-1)
20201위/10팀1위/10팀14483556.601.2911874.58한국시리즈 두산 베어스전 승리 (4-2)
20217위/10팀7위/10팀14467689.496.2611704.54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20226위/10팀6위/10팀14467743.475.2571053.90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20234위/10팀4위/10팀14475672.528.270983.83와일드카드 두산 베어스전 승리 (1-0)
준플레이오프 SSG 랜더스전 승리 (3-0)
플레이오프 KT 위즈전 패배 (2-3)
에릭 페디 (MVP)
20249위/10팀9위/10팀14461812.430.2741725.00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김경문 감독 시절 (2012-2018)

김경문 감독은 야수 조련에 일가견이 있어 나성범, 박민우와 같은 NC 다이노스를 대표하는 선수들을 육성했다. 외국인 투수들과 타자 에릭 테임즈의 활약으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5년 연속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특히 2016년에는 첫 한국시리즈에 진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2018년 꼴찌로 처지면서 김경문 감독은 자진 사퇴했고, 2018년 시즌은 유영준 감독 대행이 마무리했다.

; 이동욱 감독 시절 (2019-2022)

2대 이동욱 감독은 2018년 꼴찌였던 팀을 2019년 시즌 5위로 이끌었다. 이 해에는 FA로 양의지가 합류했고, 에릭 해커를 이을 외국인 에이스 투수 루친스키가 활약하기 시작했다. 2020년 시즌에는 창단 첫 우승과 함께 한국시리즈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2021년에는 2년 연속 우승을 노렸으나, 박석민 등 선수 4명의 방역수칙 위반 징계로 인해 7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2022년 시즌에는 나성범KIA 타이거즈로 이적했지만, 박건우와 손아섭이 FA로 합류했다. 그러나 5월 11일 이동욱 감독은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고, 강인권 감독대행 체제로 잔여 시즌을 치렀다. 10월 1일부터 6일까지 연승을 기록하며 와일드카드 희망을 이어갔으나, 7일 LG 트윈스에 역전패하며 최종 6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 강인권 감독 시절 (2022-2024)

강인권 감독은 2023년 시즌 꼴찌 후보라는 평가와는 달리 정규시즌 4위로 시즌을 마쳤다. 포스트시즌에서는 두산 베어스SSG 랜더스를 제치고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했으나 kt 위즈에게 2승 3패로 패배했다. 이 시즌에는 외국인 투수 페디가 20승 평균자책점 2.00 탈삼진 209개를 기록하면서 KBO리그 MVP를 수상했다. 2024년 시즌에는 불펜 투수의 부진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고, 강인권 감독도 9월 19일에 경질됐다. 남은 시즌은 공필성 감독대행이 마무리했다. 9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 이호준 감독 시절 (2025-)

NC 다이노스의 4대 감독으로 LG 트윈스 수석코치였던 이호준이 임명되었다.[6]

3. 1. 김경문 감독 시절 (2012-2018)

김경문 감독은 야수 조련에 일가견이 있어 나성범, 박민우와 같은 NC 다이노스를 대표하는 선수들을 육성했다. 외국인 투수들과 타자 에릭 테임즈의 활약으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5년 연속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특히 2016년에는 첫 한국시리즈에 진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2018년 꼴찌로 처지면서 김경문 감독은 자진 사퇴했고, 2018년 시즌은 유영준 감독 대행이 마무리했다.

3. 2. 이동욱 감독 시절 (2019-2022)

2대 이동욱 감독은 2018년 꼴찌였던 팀을 2019년 시즌 5위로 이끌었다. 이 해에는 FA로 양의지가 합류했고, 에릭 해커를 이을 외국인 에이스 투수 루친스키가 활약하기 시작했다. 2020년 시즌에는 창단 첫 우승과 함께 한국시리즈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2021년에는 2년 연속 우승을 노렸으나, 박석민 등 선수 4명의 방역수칙 위반 징계로 인해 7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2022년 시즌에는 나성범KIA 타이거즈로 이적했지만, 박건우와 손아섭이 FA로 합류했다. 그러나 5월 11일 이동욱 감독은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고, 강인권 감독대행 체제로 잔여 시즌을 치렀다. 10월 1일부터 6일까지 연승을 기록하며 와일드카드 희망을 이어갔으나, 7일 LG 트윈스에 역전패하며 최종 6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3. 3. 강인권 감독 시절 (2022-2024)

강인권 감독은 2023년 시즌 꼴찌 후보라는 평가와는 달리 정규시즌 4위로 시즌을 마쳤다. 포스트시즌에서는 두산 베어스SSG 랜더스를 제치고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했으나 kt 위즈에게 2승 3패로 패배했다. 이 시즌에는 외국인 투수 페디가 20승 평균자책점 2.00 탈삼진 209개를 기록하면서 KBO리그 MVP를 수상했다. 2024년 시즌에는 불펜 투수의 부진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고, 강인권 감독도 9월 19일에 경질됐다. 남은 시즌은 공필성 감독대행이 마무리했다. 9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데이비슨이 46홈런으로 홈런왕을 차지했고, 하트가 182탈삼진으로 탈삼진 1위를 기록했다.

3. 4. 이호준 감독 시절 (2025-)

NC 다이노스의 4대 감독으로 LG 트윈스 수석코치였던 이호준이 임명되었다.[6]

4. 역대 성적

wikitext

NC 다이노스는 2013년부터 KBO 리그에 참가하여 정규 시즌을 치르고 있다. 2013년 첫 시즌에는 52승 4무 72패로 9위를 기록했고, 2014년에는 70승 1무 57패로 3위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2015년에는 84승 3무 57패로 2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직행했으나, 두산 베어스에 패배했다. 2016년에는 83승 3무 58패로 2위를 기록하고, 플레이오프에서 LG 트윈스를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으나 두산 베어스에 패배했다.

2017년에는 79승 3무 62패로 4위를 기록, 와일드카드 결정전과 준플레이오프를 통과했으나 플레이오프에서 두산 베어스에 다시 패배했다. 2018년에는 58승 1무 85패로 최하위인 10위를 기록했다. 2019년에는 73승 2무 69패로 5위를 기록하며 와일드카드 결정전에 진출했지만, LG 트윈스에 패배했다.

2020년에는 83승 6무 55패로 창단 첫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했고, 한국시리즈에서 두산 베어스를 꺾고 창단 첫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2021년에는 67승 9무 68패로 7위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에는 67승 3무 74패로 6위를 기록했다. 2023년에는 75승 2무 67패로 4위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에 진출, 준플레이오프에서 SSG 랜더스를 꺾었으나 플레이오프에서 kt 위즈에 패배했다.

2024년에는 61승 2무 81패로 9위를 기록했다.

연도감독경기승리무승부패전승률타율안타홈런도루득점실점평균자책점포스트시즌최종순위
2013김경문12852472.419.2441045861425125513.969위
201412870157.551.28212491431547376084.29준플레이오프 : LG 전 1-3 패3위
201514484357.596.28914371612048446554.26플레이오프 : 두산 전 2-3 패2위
201614483358.589.2911457169998576904.48플레이오프 : LG 전 3-1 승
한국시리즈 : 두산 전 0-4 패
2위
201714479362.560.2931489149937867454.71와일드카드 : SK 전 1-0 승
준플레이오프 : 롯데 전 3-2 승
플레이오프 : 두산 전 1-3 패
4위
2018김경문
유영준(대행)
14458185.406.26112801431176608445.4810위
2019이동욱14473269.514.2781383128876746314.01와일드카드 : LG 전 0-1 패5위
202014483655.601.29114831871018887144.58한국시리즈 : 두산 전 4-2 승1위
202114467968.496.26112541701017026974.547위
2022이동욱
강인권(대행)
14467374.475.25712601051006466423.906위
2023강인권14475267.528.2701321981116796173.83와일드카드 : 두산 전 1-0 승
준플레이오프 : SSG 전 3-0 승
플레이오프 : kt 전 2-3 패
4위
2024강인권
공필성(대행)
144612810.4300.27413711721047738015.009위
합계12시즌155279036726.515colspan="7"|


4. 1. 정규 시즌

NC 다이노스는 2013년부터 KBO 리그에 참가하여 정규 시즌을 치르고 있다. 2013년 첫 시즌에는 52승 4무 72패로 7위를 기록했고, 2014년에는 70승 1무 57패로 3위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2015년에는 84승 3무 57패로 2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직행했으나, 두산 베어스에 패배했다. 2016년에는 83승 3무 58패로 2위를 기록하고, 플레이오프에서 LG 트윈스를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으나 두산 베어스에 패배했다.

2017년에는 79승 3무 62패로 4위를 기록, 와일드카드 결정전과 준플레이오프를 통과했으나 플레이오프에서 두산 베어스에 다시 패배했다. 2018년에는 58승 1무 85패로 최하위인 10위를 기록했다. 2019년에는 73승 2무 69패로 5위를 기록하며 와일드카드 결정전에 진출했지만, LG 트윈스에 패배했다.

2020년에는 83승 6무 55패로 창단 첫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했고, 한국시리즈에서 두산 베어스를 꺾고 창단 첫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2021년에는 67승 9무 68패로 7위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에는 67승 3무 74패로 6위를 기록했다. 2023년에는 75승 2무 67패로 4위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에 진출, 준플레이오프에서 SSG 랜더스를 꺾었으나 플레이오프에서 kt 위즈에 패배했다.

2024년에는 61승 2무 81패로 9위를 기록했다.

연도감독경기승리무승부패전승률타율안타홈런도루득점실점평균자책점포스트시즌최종순위
2013김경문128524720.4190.2441045861425125513.967위
2014128701570.5510.28212491431547376084.29준플레이오프 : LG 전 1-3 패3위
2015144843570.5960.28914371612048446554.26플레이오프 : 두산 전 2-3 패3위
2016144833580.5890.2911457169998576904.48플레이오프 : LG 전 3-1 승
한국시리즈 : 두산 전 0-4 패
2위
2017144793620.5600.2931489149937867454.71와일드카드 : SK 전 1-0 승
준플레이오프 : 롯데 전 3-2 승
플레이오프 : 두산 전 1-3 패
4위
2018김경문
유영준(대행)
144581850.4060.26112801431176608445.4810위
2019이동욱144732690.5140.2781383128876746314.01'''와일드카드 : LG 전 0-1 패5위
2020144836550.6010.29114831871018887144.58한국시리즈 : 두산 전 4-2 승1위
2021144679680.4960.26112611051006466133.917위
2022이동욱
강인권(대행)
144673740.4750.25712541701017026974.546위
2023강인권144752670.5280.2701321981116776173.83와일드카드 : 두산 전 1-0 승
준플레이오프 : SSG 전 3-0 승
플레이오프 : kt 전 2-3 패
4위
2024강인권
공필성(대행)
144612810.4300.27413711721047738015.009위
합계11시즌1696852398050.514colspan="7"|한국시리즈 우승 1회


4. 2. 한국시리즈

NC 다이노스는 2016년과 2020년에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였다. 2016년에는 두산 베어스에 4패(XXXX)하여 준우승을 기록하였다. 2020년에는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4승 2패(OXXOOO)를 거두며 창단 첫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이때 양의지가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5. 선수단

5. 1. 현 선수단

NC 다이노스의 현재 선수단은 다음과 같다.

; 감독

; 코치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2024년 신인지명 선수

  • 59 김휘건(1라운드 지명)
  • 100 임상현(2라운드 지명)
  • 101 김민균(3라운드 지명)
  • 102 홍유원(4라운드 지명)
  • 103 최우석(5라운드 지명)
  • 104 손주환(6라운드 지명)
  • 105 김세훈, 106 원종해(7라운드 지명)
  • 107 조현민(8라운드 지명)
  • 108 고승완(9라운드 지명)
  • 109 김재민(10라운드 지명)
  • 110 김준원(11라운드 지명)


;퓨처스 감독

;퓨처스 코치

5. 2. 역대 감독

김경문 감독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NC 다이노스의 초대 감독을 맡았다.[6] 2018년에는 유영준이 감독 대행을 맡았다.[6] 이동욱 감독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팀을 이끌었다.[6] 2022년에는 강인권이 감독 대행을 맡았고,[6]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정식 감독으로 활동했다. 2024년에는 공필성이 감독대행을 잠시 역임하였으며, 이호준이 2025년부터 NC 다이노스의 감독을 맡을 예정이다.[6]

5. 3. 역대 주요 선수

문수호(2012 - 2015), 나성범(2012 - 2021)은 2012년부터 선수로 활동했다. 야마모토 카즈히코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선수로 활동했다. 한국 이름은 최일언(チェ・イルオン)이다. 이승호(2013 - 2015), 손민한(2013 - 2015), 고창성(2013 - 2016), 이호준(2013 - 2017), 조영훈(2013 - 2017), 윤병호(2013 - 2018), 무창민(2013 - 2021)은 2013년부터 선수로 활동했다. 이혜전(2014 - 2015)은 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선수였다. 오정복(2014 - 2015), 박명환(2014 - 2015), 이종욱(2014 - 2018), 손시헌(2014 - 2019)은 2014년부터 선수로 활동했다. 이형범(2016 - 2018), 박석민(2016 - 2023)은 2016년부터 선수로 활동했다. 김종민(2017 - 2018), 강륜구(2017 - 2021)는 2017년부터 선수로 활동했다. 최준석(2018), 류원상(2018 - 2019)은 2018년부터 선수로 활동했다. 양의지(2019 - 2022)는 2019년부터 선수로 활동했다. 박정수(2020 - 2021), 문경찬(2020 - 2021), 이명기(2020 - 2022)는 2020년부터 선수로 활동했다. 심창민(2022 - 2024)은 2022년부터 선수로 활동했다.

5. 4. 역대 외국인 선수

NC 다이노스의 역대 외국인 선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애덤 윌크(Adam Wilk)(2013)
  • 사드 웨버(Sad Webster)(2014)
  • 찰리 실렉(Charlie Shirek)(2013 - 2015)
  • 잭 스튜어트(Zack Stewart)(2015 - 2016)
  • 에릭 테임스(Eric Thames)(2014 - 2016) - 전 요미우리 자이언츠
  • 에릭 해커(Eric Hacker)(2013 - 2017)
  • 제프 맨십(Jeff Manish)(2017)
  • 로건 베렛(Logan Verrett)(2018)
  • 왕웨이중(王維中)(2018) - 현 웨이취앤 드래곤스(味全ドラゴンズ), KBO 최초의 타이완 선수
  • 제이비어 스크래그스(Xavier Scruggs)(2017 - 2018)
  • 에디 버틀러(Eddie Butler)(2019)
  • 크리스찬 베탄코트(Christian Bethancourt)(2019)
  • 크리스찬 프리드릭(Christian Friedrich)(2019)
  • 제이크 스몰린스키(Jake Smolinski)(2019)
  • 마이크 라이트(Mike Wright)(2020)
  • 애런 알테어(Aaron Altherr)(2020 - 2021)
  • 닉 마티니(Nick Martini)(2022)
  • 맷 더모디(Matt Dermody)(2022) - 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드류 루친스키(Drew Rucinski)(2019 - 2022)
  • 제이슨 마틴(Jason Martin)(2023)
  • 에릭 페드(Eric Fedde)(2023) - 현 시카고 화이트삭스
  • 다니엘 카스타노(Daniel Castano)(2024)
  • 에릭 요키시(Eric Yokish)(2024)
  • 카일 하트(Kyle Hart)(2024)

5. 5. 역대 신인 지명

1차 지명(2014 ~ 2022)드래프트 결과2012이민호, 노성호1순위 박민우, 2순위 나성범, 특별지명 김태우, 노진혁, 강구성, 김태형, 이형범,
3순위 김성욱, 4순위 강진성, 5순위 박세웅, 6순위 윤문영,
7순위 박헌욱, 8순위 신재영, 9순위 마낙길, 10순위 황윤호2013윤형배, 이성민1순위 장현식, 2순위 손정욱, 특별지명 윤강민, 김정수[56], 박으뜸,
3순위 임정호, 4순위 윤대영, 5순위 유영준, 6순위 김병승,
7순위 이상민, 8순위 최재원, 9순위 권희동, 10순위 장동우2014[57][58]강민국1순위 배재환, 2순위 박광열, 3순위 이지우,
4순위 김태진, 5순위 홍지운, 6순위 이찬우,
7순위 정성민, 8순위 장민호, 9순위 구황, 10순위 김학성2015이호중1순위 구창모, 2순위 류진욱, 3순위 송동욱,
4순위 이훈, 5순위 류재인, 6순위 이우석,
7순위 문석종, 8순위 김민욱, 9순위 배준빈, 10순위 이정호2016박준영1순위 정수민, 2순위 최성영, 3순위 김한별,
4순위 이재율, 5순위 최상인, 6순위 김찬형,
7순위 김준현, 8순위 임서준, 9순위 조원빈, 10순위 최재혁2017[59]김태현1순위 신진호, 2순위 김진호, 3순위 소이현,
4순위 김영중, 5순위 이재용, 6순위 권법수,
7순위 김민수, 8순위 김호민, 9순위 강병무, 10순위 신재필2018김시훈1순위 김형준, 2순위 오영수, 3순위 김철호,
4순위 김재균, 5순위 신민혁, 6순위 공수빈,
7순위 최보성, 8순위 김영규, 9순위 이승헌, 10순위 이인혁2019박수현1순위 송명기, 2순위 전사민, 3순위 최재익,
4순위 배민서, 5순위 김범준, 6순위 하준수,
7순위 최정원, 8순위 박지한, 9순위 서호철, 10순위 노시훈2020김태경1순위 정구범, 2순위 박시원, 3순위 안인산, 4순위 임형원, 5순위 강태경, 6순위 한건희, 7순위 김한별, 8순위 한재환, 9순위 이종준, 10순위 노상혁2021김유성[60]1순위 김주원, 2순위 이용준, 3순위 오장한, 4순위 한재승, 5순위 오태양, 6순위 김준상, 7순위 조성현, 8순위 김정호, 9순위 김재중, 10순위 투수 김진우2022박성재1순위 이준혁, 2순위 박동수, 3순위 김녹원, 4순위 조효원[61], 이한, 5순위 임지민, 6순위 이주형, 7순위 이현우, 8순위 오승택, 9순위 조민석, 10순위 서준교



2023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부터 1차지명이 폐지되고 전면드래프트로 진행됐고, 기존 10라운드에서 11라운드로 1명을 더 지명할 수 있게 됐다.

연도드래프트 결과
20231순위 신영우, 2순위 박한결, 3순위 신용석, 4순위 목지훈, 5순위 강건준, 6순위 이준호, 7순위 신성호, 8순위 정주영, 9순위 서동욱, 10순위 배상호, 11순위 김주환
rowspan="2" |20241순위 김휘건, 2순위 임상현, 3순위 김민균, 4순위 홍유원, 5순위 최우석, 6순위 손주환, 7순위 김세훈[62], 원종해 8순위 조현민, 9순위 고승완, 10순위 김재민, 11순위 김준원
1순위[63] 2순위 김태훈, 3순위[15], 4순위 천범석, 5순위 이원준, 6순위 최윤석, 7순위 김현재, 8순위 이도우, 9순위 홍대인, 10순위 한지헌, 11순위 도재현



NC 다이노스는 창원시를 연고지로 하며, 용마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를 포함하여, 울산광역시울산공업고등학교, 김해시김해고등학교, 양산시물금고등학교 선수들을 지명할 수 있다. 또한 2014년부터 KIA 타이거즈의 지명권으로 이관 편입된 전라북도 (전주고등학교, 군산상업고등학교) 선수들을 대상으로 1차 지명권을 행사할 수 있다.

5. 6. 역대 2차 드래프트 지명

2차 드래프트는 한국 야구 위원회에서 2년마다 11월 말에 개최되며, 타 팀에서 FA 신청선수를 제외한 35명의 보호선수에서 제외된 선수를 지명할 수 있다.

연도1라운드2라운드3라운드4 ~ 7라운드[64]
2012조평호
(키움 히어로즈, 내야수)
이재학
(두산 베어스, 투수)
오정복
(삼성 라이온즈, 외야수)
정성철(KIA 타이거즈, 투수)
윤영삼(삼성 라이온즈, 투수)
허준(키움 히어로즈 포수)
문현정(삼성 라이온즈, 투수)
2014이혜천
(두산 베어스, 투수)
김성계
(KIA 타이거즈, 투수)
심재윤
(LG 트윈스, 외야수)
2016윤수호
(kt 위즈, 투수)
김선규
(LG 트윈스, 투수)
심규범
(롯데 자이언츠, 투수)
2018유원상
(LG 트윈스, 투수)
김건태
(키움 히어로즈, 투수)
박진우
(두산 베어스, 투수)
2020강동연
(두산 베어스, 투수)
홍성민
(롯데 자이언츠, 투수)
김기환
(삼성 라이온즈, 외야수)
2024송승환
(두산 베어스, 외야수)
김재열
(KIA 타이거즈, 투수)


5. 7. 역대 FA 영입

NC 다이노스는 창단 팀 지원 정책에 따른 혜택이 2014년 시즌까지 적용되어 이 기간 동안은 영입하는 선수의 전 구단에서 보상선수 지명이 불가능하고 보상금만 받을 수 있었다. 현재는 다른 구단의 예를 따라 타 구단 FA 영입시 그 선수의 전 구단에서 보상선수 지명이 가능하다.

이름전 구단연도포지션계약기간금액보상선수
이호준SK 와이번스2012내야수3년20억원
이현곤KIA 타이거즈2012내야수3년10억 5천만원
이종욱두산 베어스2013외야수4년50억원
손시헌두산 베어스2013내야수4년30억원
박석민삼성 라이온즈2015내야수4년96억원최재원
양의지두산 베어스2018포수4년125억원이형범
이용찬두산 베어스2021투수3+1년27억원박정수
박건우두산 베어스2021외야수6년100억원강진성
손아섭롯데 자이언츠2021외야수4년64억문경찬
박세혁두산 베어스2023포수4년46억박준영


6. 마케팅 및 사회 공헌

6. 1. 마케팅

모기업인 엔씨소프트가 IT를 기반으로 한 기업이다 보니, IT 기술을 이용한 마케팅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6. 2. 사회 공헌

NC 다이노스는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3년 11월 13일 NH 농협은행 홈런존 운영을 통해 적립된 550만원을 경남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전달하였다. 나성범이 7개를 기록하는 등 총 11개의 홈런이 적립되었다.[75] 11월 17일에는 네네치킨과 '사랑의 온도계' 캠페인을 통해 적립된 치킨 400마리를 경남아동보호전문기관과 동보원에 전달하였다.[76] 11월 22일에는 NH 농협은행을 통해 적립된 650만원을 동진노인복지센터에 전달하였다. 이민호 6개, 임창민 2개, 손민한 3개 등 총 13세이브가 적립되었다.[77] 11월 27일부터 11월 29일까지는 선수들이 직접 학교를 방문하여 티볼, 야구를 가르쳐주는 '주니어 다이노스 스쿨 in 경남'을 개최하였다.[78] 12월 4일에는 '팔도 홈런존' 운영을 통해 창원시 희망 푸드 마켓에 700만원 상당의 물품을 전달하였다.[79] 12월 12일에는 던킨도너츠와 함께 의창노인종합복지관에 2592개의 도너츠를 전달하였다.[80] 12월 13일에는 대동백화점 홈런존 운영으로 적립된 쌀 500kg을 마산장애인복지관에 전달하였다. 이호준이 3개, 박정준 1개, 김태군 1개로 총 5개의 홈런이 적립되었다.[81] 12월 17일에는 신협과의 제휴를 통해 희생타 43개로 적립한 1000만원 상당의 야구용품을 연고지역 6개 고등학교에 지원하였다.[82]

2014년 2월 25일부터 3월 1일까지 '2014 주니어 다이노스 스프링 챔피언십'을 개최하였다. 울산광역시와 전라북도의 야구팀이 처음으로 참가하였으며, 초등부에서는 전북신풍초등학교와 마산양덕초등학교가 공동 우승하였다.[83] 4월 4일부터는 ADT캡스와 업무 제휴를 통해 마산 홈경기에서 어린이 안전 헬멧을 무료로 대여해주는 프로모션을 진행하였다.[84] 6월부터는 W 다이노스 여자야구단에 국내 프로 야구 구단 최초로 지원을 시작하였다.[85] 5월 20일에는 마산야구 100주년 기념행사를 진행하였다.[86][87] 8월 29일에는 경남교육청, NH 농협은행 경남본부와 제휴하여 소규모 학교 스포츠문화 체험 활동을 지원한다고 밝혔다.[88] 11월 7일부터 11월 10일까지는 2014 주니어 다이노스 윈터 파이널 고교야구대회를 월명종합경기장 야구장에서 개최하였다. 결승전에서 용마고등학교가 군산상업고등학교에 승리하여 우승하였고, 최우수선수에는 용마고등학교 3루수 김성현이 선정되었다.[89] 11월 17일 남창원농협과의 제휴로 적립된 금액을 동보원에 기부하였다.[90] 11월 21일에는 대동백화점과의 제휴로 창원시 마산장애인복지관에 쌀 40포대를 전달했다.[91] 11월 26일에는 이마트(창원점)와의 승리 제휴로 적립된 760만원을 창원시 성산구청에 전달하였다. 11월 27일에는 창원지역 사회복지기관 11곳에 후원금(품)을 전달했다.[92] 같은 날 '애프터스쿨 in 경남 2014 행사'를 진행하였다.[93] 11월 28일에는 '2014 주니어 다이노스 폴 페스티벌'을 실시하였다.[94]

2015년 3월 6일부터 3월 23일까지 2015 주니어 다이노스 스프링 챔피언십대회를 개최했다.[95] 리틀 야구팀 부문에서는 거제시 리틀야구팀이, 초등부에선 김해삼성초등학교가, 중등부 결승에선 마산동중이 우승했다. '네네치킨 MVP'에는 거제리틀야구팀 정준원, 김해삼성초등학교 이세윤, 마산동중학교 김현우가 선정됐다.[96] 3월 15일에는 3.15 마산의거를 기념식을 진행했다.[97] 4월 26일에는 ‘이충무공탄신 470주년’ 기념 행사를 진행했다.[98] 6월 3일에는 창원시설관리공단과 협약을 통해 한부모 가정 및 저소득층 청소년에게 무료관람 혜택과 기념품을 증정하기로 했다.[99] 7월 26일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의 한인유소년 야구팀 선수단을 초청했다.[100] 8월 15일에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태극기 관련 이벤트를 진행했다.[101] 11월 2일부터 11월 6일까지는 '2015 주니어 다이노스 윈터파이널 고교야구대회'를 개최했다.[102] 국가인권위원회와 공동으로 9월 15일 인권캠페인을 실시했다.[103] 네네치킨과 제휴한 캠페인을 통해 적립된 치킨을 기부했다.[104] '손민한과 놀자'라는 프로그램을 런칭해, 손민한이 유소년 야구팀을 찾아가 코칭과 티볼 교육을 지도했다.[105] 6월 9일에는 경남지역 소규모 학교 학생들의 스포츠 문화 체험을 위한 관람 행사를 열었다.[106] 9월 3일에는 'NC다이노스와 함께하는 자원봉사 홍보데이'를 개최했다.[107]

7. 응원

## 응원단

NC 다이노스의 초대 응원단장은 임태현이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활동했다. 2019년부터는 이범형이 2대 응원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9년에는 이규래가 아나운서를 맡았다.

응원단장 이범형과 함께 활동하는 치어리더로는 김유나, 김수현, 이지원, 허수미, 강지유, 감서윤, 김가은, 김정원, 황지빈, 김가영이 있다.

## 응원가

NC 다이노스는 매년 슬로건(캐치프레이즈)을 발표한다.



NC 다이노스의 응원가로는 소울다이브의 〈Dinos Athem〉, 〈필승의 이름, NC 다이노스〉, 노브레인의 〈Come On Come On 마산스트리트여〉[65], 〈NC 다이노스 놀자〉[66], 양상국의 〈다이노스 다이겨쓰〉, 오! 나의 여신님 OST를 개사한 〈NC여 일어나라〉 (투수 교체 시 방송), 이승철, 네이브로의 〈우린 해낼 수 있다〉 등이 있다.

상대 투수가 주자에게 견제구를 던질 때, "그만 좀 해"라는 뜻의 동남 방언인 '쫌'이라는 견제 구호를 외친다.[67] 롯데 자이언츠 응원단이 "마"를 외치면, NC 다이노스 응원단은 "산"이라고 맞대응 한다. 견제 대응 응원을 할 때 배경음악을 방송하기도 하며, 응원석에서는 반주에 맞춰 응원한다.

타자가 타석에 들어섰을 때, 응원석의 위치에 따라 이름을 나눠 외치고 다같이 "쌔리라"를 외치는 응원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나성범이 타석에 들어서면, 1층 응원석에서 '나', 2층 응원석에서 '성', 외야 응원석에서 '범'을 외친 후 다같이 '쌔리라'라고 외친다.

## 응원 도구

단디봉


단디봉은 NC 다이노스의 응원 도구로, 단디의 머리 부분에 막대를 붙여서 막대 부분을 잡고 흔들면서 응원을 하는 도구이다.

7. 1. 응원단

NC 다이노스의 초대 응원단장은 임태현이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활동했다. 2019년부터는 이범형이 2대 응원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9년에는 이규래가 아나운서를 맡았다.

응원단장 이범형과 함께 활동하는 치어리더로는 김유나, 김수현, 이지원, 허수미, 강지유, 감서윤, 김가은, 김정원, 황지빈, 김가영이 있다.

7. 2. 응원가

NC 다이노스는 매년 슬로건(캐치프레이즈)을 발표한다.

NC 다이노스의 응원가로는 소울다이브의 〈Dinos Athem〉, 〈필승의 이름, NC 다이노스〉, 노브레인의 〈Come On Come On 마산스트리트여〉[65], 〈NC 다이노스 놀자〉[66], 양상국의 〈다이노스 다이겨쓰〉, 오! 나의 여신님 OST를 개사한 〈NC여 일어나라〉 (투수 교체 시 방송), 이승철, 네이브로의 〈우린 해낼 수 있다〉 등이 있다.

상대 투수가 주자에게 견제구를 던질 때, "그만 좀 해"라는 뜻의 동남 방언인 '쫌'이라는 견제 구호를 외친다.[67] 롯데 자이언츠 응원단이 "마"를 외치면, NC 다이노스 응원단은 "산"이라고 맞대응 한다. 견제 대응 응원을 할 때 배경음악을 방송하기도 하며, 응원석에서는 반주에 맞춰 응원한다.

타자가 타석에 들어섰을 때, 응원석의 위치에 따라 이름을 나눠 외치고 다같이 "쌔리라"를 외치는 응원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나성범이 타석에 들어서면, 1층 응원석에서 '나', 2층 응원석에서 '성', 외야 응원석에서 '범'을 외친 후 다같이 '쌔리라'라고 외친다.

7. 3. 응원 도구



단디봉은 NC 다이노스의 응원 도구로, 단디의 머리 부분에 막대를 붙여서 막대 부분을 잡고 흔들면서 응원을 하는 도구이다.

8. 기타

8. 1. 홈구장

8. 2. 관련 팀

창원 다이노스2015년 KBO 퓨처스리그부터 참가하는 NC 다이노스의 2군 팀이다.

8. 3. 마스코트

NC 다이노스의 마스코트는 단디와 쎄리라는 이름을 가진 두 마리의 공룡으로, 팀의 상징인 공룡을 형상화한 것이다. '단디'와 '쎄리'라는 이름은 모두 동남 방언에서 따 온 것으로, 단디는 "단단히"[46]라는 뜻의 동남 방언이며, 쎄리는 "때리다"라는 뜻의 동남 방언 "쎄리다"에서 따온 것이다.

단디의 원형은 육식 공룡인 알로사우루스이고, 쎄리의 원형은 초식 공룡인 브라키오사우루스이다. 쎄리는 목걸이를 착용한 녹색 브론토사우루스로, SB 네이션에 의해 "스월 대디(Swole Daddy)"라는 별명으로 불린다.[7] 단디는 파란색 티라노사우루스이다.[8]

2016년 4월 2일 뽀롱뽀롱 뽀로로의 '''뽀로로'''를 마스코트로 지정하였다.[48] 2020년에는 아기공룡 둘리둘리를 세번째 마스코트로 FA 지정하였다. 둘리좌익수 포지션, 7번을 배번받았으며, 주말 홈 경기 시 단디, 쎄리와 함께 활동 및 주요 이벤트를 진행한다.[47]

마스코트 "단디"(왼쪽)와 "쎄리"(오른쪽)

8. 4. 영화

미스터 고는 2013년 한국·중국 합작 야구 영화로(일본에서는 2014년 개봉), 두산 베어스에 입단한 대타 전문 고릴라에 대항하여 마운틴 고릴라 제로스를 입단시킨 구단으로 등장한다.

참조

[1] 뉴스 NC Dinos to enter first division https://koreajoongan[...] Korea JoongAng Daily 2012-05-08
[2] 웹사이트 7전8기… NC 감격의 창단 첫승 http://economy.hanko[...] 2013-04-14
[3] 뉴스 KBO clubs snatch up new foreign players following rule change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13-12-16
[4] 웹사이트 NC Dinos claim Korean Series title with 4–2 win over Doosan Bears https://koreajoongan[...] 2020-11-24
[5] 웹사이트 NC Dinos clinch first KBO regular season title https://koreajoongan[...] 2020-10-25
[6] 웹사이트 NC Dinos hire ex-captain Lee Ho-joon as new manager https://koreajoongan[...] 2024-10-22
[7] 웹사이트 I accidentally re-named the NC Dinos mascot 'Swole Daddy' https://www.sbnation[...] 2020-05-11
[8] 웹사이트 All other mascots just got served by this incredible KBO dancing dinosaur https://www.mlb.com/[...] 2015-08-03
[9] 웹사이트 新規参入球団の「初年度は二軍のみ、2年目から一軍を設置」というスタイルはピングレ・イーグルス(現:ハンファ・イーグルス)、サンバンウル・レイダースに次いで3例目
[10] 뉴스 野球:NCソフト、球団名称は「NCダイノス」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11] 뉴스 チーム名は「ダイノス」 プロ野球9番目の球団 http://world.kbs.co.[...] KBS WORLD
[12] 뉴스 NC홈구장 명칭 창원NC파크 마산구장…시의회 표결로 결정 http://www.knn.co.kr[...] KNN 2018-02-18
[13] 웹사이트 https://www.ncdinos.[...]
[14] 웹사이트 韓国型マイナーリーグ成功時代1, 韓国型マイナーリーグ成功時代2 https://web.archive.[...] 中央日報日本版 2015-10-02
[15] 뉴스인용 [스포츠 인&아웃] 엔씨소프트 9구단 부산에 올 뻔했다? https://sports.news.[...] 부산일보 2011-03-25
[16] 웹사이트 엔씨소프트의 최대 주주는 지분 14.7%를 보유한 넥슨그룹(지주사 : NXC)이며, 2대 주주는 9.9%를 보유한 김택진이다. http://dkbnews.donga[...] 2013-12-12
[17] 뉴스 KBO-창원시, '제9구단' 유치 협약 http://www.ytn.co.kr[...] YTN
[18] 뉴스 엔씨소프트, 프로야구 '제9의 구단' 주인 될까? http://game.donga.co[...] 게임동아
[19] 뉴스 9구단 창단 거북이 걸음…호기 스스로 놓치나? https://news.naver.c[...] 뉴시스
[20] 웹사이트 가이드라인에는 구단의 경우 유동비율 150% 이상, 부채비율 200% 이하, 자기자본순이익율 10% 이상 or 당기순이익 1천억 이상, 모기업 신설구단 지원계획의 적정성과 오너의 구단주 취임 충족, 자금 조달 및 자금운영 계획의 적정성, 야구발전 기여 계획, 보호지역(연고지)의 전용구장 확보와 신청 법인의 보호지역 주민의 여론, 지자체의 지원등이 포함되었고, 신규구단의 보호지역의 경우는 해당도시 인구수가 100만명 이상이 되어야 함을 명시하였다. 신규 구단 후의 조건은 상법상 불입 자본금 10억원 이상의 주식회사의 설립과 가입 승인 이후 5년내의 2.5만석의 전용구장 확보, 가입금 및 야구발전기금(총 50억 이상), 100억원의 보증금 예치 후 5년간 참가자격 유지시 세금을 제한 원금과 이자전액을 반환하며 유지하지 못할시 KBO에 귀속, 창단 후 퓨처스리그(2군 리그) 참가기간에는 회비의 20%만 납부하고 표결권제한-사업수익분배 미지급 등이 규정되었다.
[21] 뉴스 엔씨소프트, 창원 연고 9구단 우선협상자로 확정 http://osen.mt.co.kr[...] OSEN
[22] 뉴스 KBO 이사회, 엔씨소프트 제9구단 창단 승인…'롯데만 반대표' http://www.ajunews.c[...] 아주경제
[23] 뉴스 엔씨소프트, 이사회 참석으로 ‘어엿한 9구단’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4-02-01
[24] 뉴스 KBO, 엔씨소프트 선수 수급 방안 확정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5] 뉴스 이상구 단장, "NC, 새로운 명문구단 만들것" http://osen.mt.co.kr[...] OSEN
[26] 뉴스 엔씨소프트 스카우트팀 발족 http://sports.news.n[...] 뉴시스
[27] 뉴스 엔씨소프트, 프로야구단 신임 대표에 이태일씨 영입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8] 뉴스 NC, 신임 배석현 단장 임명…이상구 단장은 부사장으로 http://joynews.inews[...] 조이뉴스
[29] 뉴스 프로야구 9구단 명칭 '엔씨 아구스' 제안합니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30] 뉴스 엔씨소프트프로야구단, 구단명 공모전 당첨자 발표 http://www.fnn.co.kr[...] 포커스신문 2014-01-12
[31] 뉴스 엔씨소프트, 공개 트라이아웃 개최 http://news.sportsse[...] 스포츠서울 2013-10-21
[32] 뉴스 NC, '신인 우선지명' 노성호, 이민호 선정 http://osen.mt.co.kr[...] OSEN
[33] 뉴스 NC,상무·경찰청 소속 5명과 계약 http://sports.donga.[...] 스포츠동아
[34] 뉴스 넥센 조평호, 2차드래프트 1순위선수로 NC행…총 27명 팀 갈아타 http://www.ajunews.c[...] 아주경제
[35] 뉴스 외국인 선수, 2013·2014시즌에도 팀당 2명 유지 http://osen.mt.co.kr[...] OSEN
[36] 뉴스 NC다이노스, 올 겨울 '감독 영입전'의 중심에 선다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37] 뉴스 김경문, 제9구단 NC 초대 사령탑 선임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38] 뉴스 NC, 박승호 수석코치 등 코칭스태프 구성 완료 http://sports.news.n[...] 뉴시스
[39] 뉴스 신생구단 NC 첫 발걸음, 강진캠프 첫 날 풍경 http://sports.news.n[...] 스포츠조선
[40] 뉴스 NC다이노스, 한라산 등반으로 70일 캠프 마무리 http://starin.edaily[...] 이데일리
[41] 뉴스 NC, 18일 애리조나 전지훈련 출국 '새 코치 2명 합류' http://starn.hankyun[...] 한경닷컴 2015-04-14
[42] 뉴스 프로야구 NC 선수들, KBO 정식 등록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43] 뉴스 NC, 첫 홈경기에서 롯데 대파 http://sports.news.n[...] 뉴시스
[44] 기타
[45] 뉴스 NC, 구단 공식 엠블렘 공개...명문구단 도약 의지 담아 http://starin.edaily[...] 이데일리
[46] 기타
[47] 뉴스 NC, 시즌 중 'FA 선수' 영입?…캐릭터 둘리 입단식 http://xportsnews.ha[...] 엑스포츠뉴스 2014-05-21
[48] 뉴스인용 '어린이 대통령' 뽀로로, NC 가족 됐다 http://view.asiae.co[...] 2016-04-04
[49] 뉴스 프로야구 NC 다이노스 ‘마린블루’유니폼 공개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14-12-15
[50] 뉴스 NC다이노스, 현충일에 해군 스페셜 유니폼 착용 http://www.newstomat[...] 뉴스토마토
[51] 뉴스 NC, 28일 고성공룡엑스포와 '주니어 다이노스 데이' http://www.xportsnew[...] 엑스포츠
[52] 뉴스 NC, 대만 전지훈련서 NC Taiwan 유니폼 착용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53] 뉴스 NC 2군 차별화, 끝없는 변화와 혁신 http://sports.mk.co.[...] MK스포츠
[54] 뉴스 NC '태극기 유니폼' 2시간 만에 동나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55] 기타
[56] 기타
[57] 기타
[58] 기타
[59] 기타
[60] 기타
[61] 기타
[62] 기타
[63] 기타
[64] 기타
[65] 기타
[66] 기타
[67] 뉴스 롯데의 ‘마!’ 응원 대항마, NC의 '쫌!' https://news.naver.c[...] 일간스포츠
[68] 뉴스 NC 페이스북 ‘좋아요’ 10만명 돌파 http://www.knnews.co[...] 경남신문
[69] 뉴스 트위터에서 야구재미를...'#NC트위터데이' 응원트윗 2만4천개 http://osen.mt.co.kr[...] OSEN
[70] 뉴스 NC, '디B컷' 인스타그램 계정 개설 http://www.spotvnews[...] 스포티비뉴스
[71] 뉴스 http://www.etoday.co[...] 2015-11-24
[72] 뉴스 http://www.newsis.co[...] 2016-03-24
[73] 뉴스 http://www.sportsq.c[...] 2016-06-12
[74] 뉴스 http://sports.donga.[...] 2016-06-12
[75] 웹사이트 NC, ‘NH농협 홈런존’ 적립 기금 550만원 전달식 진행 http://star.fnnews.c[...] 2014-03-07
[76] 웹사이트 네네치킨, NC다이노스와 ‘사랑의 온도계’ 나눔 행사 가져 http://www.enewstoda[...]
[77] 웹사이트 '사랑의 세이브' NC, NH농협은행과 적립금 전달식 진행 http://www.mydaily.c[...]
[78] 웹사이트 NC 다이노스, 의령초 홈타운투어 행사 열어 http://www.anewsa.co[...]
[79] 웹사이트 프로야구 NC, '팔도 홈런존' 적립 물품 전달 http://view.asiae.co[...]
[80] 웹사이트 NC 다이노스, 던킨도너츠와 무실점 이닝 적립 도너츠 기부 http://www.nspna.com[...]
[81] 웹사이트 NC, 대동백화점 홈런존 적립 물품 전달 http://gnnews.co.kr/[...] 2016-03-11
[82] 웹사이트 NC 다이노스, 신협에 팀기록 연계 적립물품 전달 http://www.nspna.com[...]
[83] 웹사이트 NC ‘2014 주니어 다이노스 스프링 챔피언십’ 개최 http://news.hankooki[...] 2014-03-01
[84] 웹사이트 NC, ADT캡스와 어린이 안전 프로모션 실시 http://starin.edaily[...]
[85] 웹사이트 야구의 매력에 빠진 그녀들의 진짜 야구, W 다이노스 여자야구단 http://www.ncdinos.c[...] 2016-03-06
[86] 일반
[87] 웹사이트 마산 야구의 과거·현재·미래를 보여준 100주년 행사 http://sports.hankoo[...]
[88] 웹사이트 도교육청-NC다이노스-NH농협은행 경남본부 소규모학교 스포츠문화 체험 지원 http://www.knnews.co[...]
[89] 웹사이트 2014 주니어 다이노스 윈터 파이널, 용마고 우승 http://www.gnmaeil.c[...]
[90] 웹사이트 NC, 지역사회 위한 '사랑의 적립금' 동보원에 전달 http://star.mt.co.kr[...]
[91] 웹사이트 NC 다이노스, 사랑의 쌀 포대 전달 https://news.naver.c[...]
[92] 웹사이트 NC, 지역 사회를 위한 사랑의 후원금 전달 http://baekn.etoday.[...]
[93] 웹사이트 NC다이노스, 야구용품 전달 및 재능기부 진행 http://www.newstomat[...]
[94] 웹사이트 NC, '주니어 다이노스 폴 페스티벌' 성황리 진행 http://starin.edaily[...]
[95] 웹사이트 NC, 오늘 ‘주니어 다이노스 스프링 챔피언십’ 개막 http://www.knnews.co[...]
[96] 웹사이트 거제시 리틀-김해 삼성초-마산동중, 주니어 다이노스 스프링챔피언십 우승 http://osen.mt.co.kr[...]
[97] 웹사이트 NC, 15일 마산의거 기념식 및 '만남 2015' 이벤트 http://www.spotvnews[...]
[98] 웹사이트 충무공이순신함, ‘이충무공탄신 470주년’ 기념 NC다이노스 홈경기 시구 http://www.anewsa.co[...]
[99] 웹사이트 소외계층 경기 무료관람 한뜻 NC·창원시설관리공단 협약 http://www.idomin.co[...]
[100] 웹사이트 NC 다이노스, 미주 한인 유소년팀 초청행사 http://www.gnnews.co[...]
[101] 웹사이트 마산구장이 태극기로 물든다! NC, 선수단 ‘태극기 유니폼’ 착용 http://www.stnsports[...]
[102] 뉴스 http://www.gnnews.co[...] 2015-11-28
[103] 뉴스 http://www.yonhapnew[...] 2016-01-19
[104] 뉴스 http://www.enewstoda[...] 2016-03-24
[105] 뉴스 http://www.kookje.co[...] 2016-06-14
[106] 뉴스 NC, 소규모 학교 스포츠 체험 지원 http://www.gnnews.co[...] 2016-06-14
[107] 뉴스 NC다이노스와 함께하는 '자원봉사 홍보Day' 큰 호응 http://www.cnbnews.c[...] 2016-09-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